본문 바로가기

백준

(6)
[백준] 7대 난제 클리어 https://www.acmicpc.net/workbook/view/1376 문제집: 백준 7대 난제 (CookieHCl) www.acmicpc.net 1237번 정ㅋ벅ㅋ 문제의 정답을 출력하시면 됩니다. 2555번 생일 출력하기 백준님 생일 출력하시면 됩니다. 구글링 열심히 하세요 2556번 별 찍기 - 14 네모 꽉 채워서 찍으세요^^ 9999번 구구 힌트 검색해보면 1915년생 1950년 앨범 수록곡 12바이트 끝글자 e 가수 이니셜 EP인걸 잘 이용하면 됩니다. 저는 앨범 따로 검색 안하고 1950년 출시된 노래 전부 넣어봤어요 11506번 占쏙옙 � 12096번 (이름없음) html 소스를 확인해보세요 15891번 스타트링크 사무실을 파헤쳐보자 상식적인 상수가 정답이므로 추측해보세요. 참고로 채..
[백준 온라인 저지] 1000문제 돌파 드디어 1000문제 돌파했습니다. 푼 문제가 네자리가 되었네요 백준 시작한지도 4년이구요 ㅎ 앞으로 더 열심히 해봅시다! (수고했다 나!)
[백준] 플립과 시프트 문제 :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7347 문제요약 : 회전하는 판에 검은색 흰색 돌이 있는데 한 돌을 기점으로 좌우 돌을 스왑할 수 있다. 검은돌과 흰돌이 섞여있지 않게 놓을 수 있는가? ※흰 원판 검은 원판이긴 한데 그냥 넘어갑시다.! 조건 : 1. 테스트 케이스 수 T 제한 x 2. 흰돌 개수 m, 검은돌 개수 n에 대해 10≤m+n≤30 3. 흰 돌은 0, 검은 돌은 1로 주워진다. 해설 : 전체 개수 N이라 할 때 (N=m+n) 검은 돌에 대해서만 생각해보자(검은 돌이 한쪽에 몰려있으면 다른쪽에 흰돌이 몰려있다) i)N이 짝수인 경우 검은 돌의 위치를 2로 나눈 나머지가 홀수인 경우 a, 짝수인 경우 b라 할 때 abs(a-b)≤1이면 검은 돌을 한 쪽에 몰아넣을..
[백준] Xor Sum 문제 :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3504 문제요약 : 각각의 테스트 케이스마다 수열의 연속된 부분 수열 중 XOR 합이 가장 큰 부분 수열의 XOR 합을 출력한다 조건 : 1. 테스트 케이스 수 1 ≤ T ≤ 102. 수열 크기 1 ≤ N ≤ 100,0003. 수열의 각 숫자는 int 범위 안의 음이 아닌 정수 (=32비트 안의 음이 아닌 정수) 해설 : 풀다가 힘들어서 다른 블로그를 참조했다...https://young02.tistory.com/62 XOR 합템플릿.md Tip 런타임에러가 났었는데 trie_size 변수 초기화를 하지 않았다...(ㅠㅠ) int형이 32bit지만, 1bit를 부호비트로 사용하기 때문에 사실상 31bit까지의 수만 나타낼 수 있다. 여..
[백준] 2561번 세 번 뒤집기 문제 :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561 문제요약 : 수열의 구간 (xi,yi)를 순차적으로 뒤집어 원래 수열로 만들 때, xi,yi(i=1~3) 를 출력하라 조건 : 1. 정수 N (5≤N≤1000) 2. 구간[i,i]를 뒤집으면 아무런 변화가 없는데 이러한 것도 허용이 된다. 해설 : 주어진 수열의 부분수열을 뒤집는 행위를 세 번 반복하여 1, 2, ... ,N이 되는 수열로 만드는 문제다. 조건 2를 보면 굳이 세 번 뒤집을 필요가 없음을 알 수 있다. 즉, 두 번 뒤집고 1,1을 뒤집거다 한 번 뒤집고 1,1을 두번 뒤집으면 되는 것이다. 우선 처음 수열이 1씩 증가하는 수열이기때문에 이 수열을 세 번 뒤집으면 1씩 증가하거나 1씩 감소하는 부분이 k개 생긴다. ..
[백준] 1604번 정사각형 자르기 문제 :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604 문제요약 : N개의 선분들이 (-10,-10)(-10,10)(10,10)(10,-10)으로 이루어진 정사각형을 몇개의 영역으로 나누는가? 조건 : 1. (-1000≤x1,y1,x2,y2≤1000) 2. 선분의 양 끝점은 정사각형 밖에 있다. 3. 두 선분은 같은 직선 상에 있지 않다. 4. 세 개 이상의 직선은 한 점에서 교차하지 않는다. 해설 : 사실 생각해보면 꽤 간단한 문제임을 알 수 있습니다. 선분이 아닌 직선으로 보았을 때 직선간의 교점의 수가 하나 늘 때마다 평면의 영역은 하나씩 늘게 됩니다. 마찬가지로 위 문제는 정사각형 영역만을 보았을 때 그 위를 지나가는 직선들간의 교점의 개수를 확인하면 됩니다. 교점의 개수 : ..

반응형